top of page

20.01.28(목) "은혜의 지배를 받는 신자"


비록 의지 속에 개별적인 죄들에 대해서는 죄를 잉태하는 데 충분한 의도적 동의가 있을 수 있으나, 신자에게는 어떤 죄에 대해서든 의지의 절대적이고 총체적이며 충분한 동의가 있을 수 없습니다. 신자의 의지 속에는 선을 행하기 원하는 원리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선을 행하기 원하는 나에게"(롬7:21). 의지 속에 들어 있는 은혜의 원리로 인해 신자는 선을 행하는 방향으로 이끌립니다. 일반적으로 은혜의 원리는 죄의 원리에 반대하여 활동하기 때문에 의지는 은혜의 원리에 따라 움직입니다. 모든 신자의 의지 속에는 죄가 아니라 은혜가 지배권과 지배력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 의지 속에서 죄에 동조하는 성향이나 원리가 은혜의 성향이나 원리를 반대한다고 해도, 그 반대는 총체적이고 절대적이며 완전할 수 없습니다.


<기도>

신자는 은혜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을 기억하며 오늘도 소망가운데 주를 찬송합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자신이 기뻐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하나님의 고유한 특권이자 주권이기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구원하실 자들을 주권적으로 부르시고 의롭게 하시며,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평안이 있으라고 말씀하시고,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롬9:18).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를 부르시고, 자신이 원하는 자를 거룩하게 하

죄의 뿌리 곧 내재하는 죄와 관련해서든 아니면 죄가 표출되는 경우와 관련해서든 하나님이 죄책에 대해 마음을 불안하게 만드시는 경우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에 스스로 평안하다고 말하지 말고 하나님이 영혼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경청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지 못해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속이는 것은 참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서는 참으로 아는 것이 적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지혜자인 솔로몬도 자신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비하면 짐승이라 내게는 사람의 총명이 있지 아니하니라 나는 지혜를 배우지 못하였고 또 거룩하신 자를 아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