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12.03(목) "죄의 형벌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는 것"


바울도 신자들에게 항상 "살아 계신 하나님의 손에 빠져 들어가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히10:31) 유념하라고 지시하는데, 그렇게 말한 이유는 앞에서 하나님이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30절)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절대로 죄책을 그냥 넘어가지 않는 보수하시는 하나님입니다. 출애굽기를 보면, 그리스도 안에서 불쌍한 죄인들에게 무한히 힘을 주는 자신의 은혜로우신 이름을 선포하면서, 마지막 부분에서 "벌을 면제하시는 않는다."고 덧붙이십니다. "여호와께서 그의 앞으로 지나시며 선포하시되 여호와라 여호와라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 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라 인자를 천 대까지 베풀며 악과 과실과 죄를 용서하리라 그러나 벌을 면제하지는 아니하고 아버지의 악행을 자손 삼사 대까지 보응하리라"(출34:7). 즉 하나님은 응보적 공의에 따라 모든 죄에 대해 합당한 형벌이 있다는 의식을 자신이 용서한 사람들의 지성에 두실 것이라는 뜻입니다.


<기도>

하나님께서는 은혜로우시며 죄를 용서하시는 사랑의 하나님이지만, 결코 죄를 그냥 용서할 수 없고 반드시 형벌해야 하는 하나님이심을 기억하며, 죄의 용서에 대한 지식만큼 죄의 형벌에 대한 인식도 갖게 하사 균형잡힌 신앙과 삶이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자신이 기뻐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하나님의 고유한 특권이자 주권이기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구원하실 자들을 주권적으로 부르시고 의롭게 하시며,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평안이 있으라고 말씀하시고,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롬9:18).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를 부르시고, 자신이 원하는 자를 거룩하게 하

죄의 뿌리 곧 내재하는 죄와 관련해서든 아니면 죄가 표출되는 경우와 관련해서든 하나님이 죄책에 대해 마음을 불안하게 만드시는 경우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에 스스로 평안하다고 말하지 말고 하나님이 영혼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경청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지 못해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속이는 것은 참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서는 참으로 아는 것이 적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지혜자인 솔로몬도 자신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비하면 짐승이라 내게는 사람의 총명이 있지 아니하니라 나는 지혜를 배우지 못하였고 또 거룩하신 자를 아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