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1.10.06(수) "율법의 무능력함"


죄는 자기의 지배가 방해받은 것을 알면 더욱 난폭하게 학대를 행하고 영혼에 대한 속박을 배가시킵니다. 그러므로 죄를 파괴시키거나 죄가 갖고 있는 지배권을 빼앗는 것은 본질상 율법의 임무가 아닙니다. 아무리 율법의 총공격을 받는다고 해도, 죄는 힘을 조금도 상실하지 않습니다. 죄는 여전히 힘과 위력을 유지합니다. 죄는 결코 파괴되거나 약화되지는 않습니다.


율법의 전체 역사는 단지 죄를 자극하고 격분시킬 뿐입니다. 오히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전보다 더 큰 권능과 활력과 힘으로 기승을 부립니다. 바울은 이것을 로마서 7장 9-13절에서 상세히 증명합니다.


<기도>

복음과 성령님을 의지함으로 죄죽임에 힘쓰는 하루가 되게 하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자신이 기뻐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하나님의 고유한 특권이자 주권이기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구원하실 자들을 주권적으로 부르시고 의롭게 하시며,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평안이 있으라고 말씀하시고,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롬9:18).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를 부르시고, 자신이 원하는 자를 거룩하게 하

죄의 뿌리 곧 내재하는 죄와 관련해서든 아니면 죄가 표출되는 경우와 관련해서든 하나님이 죄책에 대해 마음을 불안하게 만드시는 경우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에 스스로 평안하다고 말하지 말고 하나님이 영혼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경청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지 못해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속이는 것은 참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서는 참으로 아는 것이 적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지혜자인 솔로몬도 자신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비하면 짐승이라 내게는 사람의 총명이 있지 아니하니라 나는 지혜를 배우지 못하였고 또 거룩하신 자를 아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