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1.2.18(목) "복음의 은혜에 대한 교리를 악용하는 것"

우리는 죄사함이 클수록 은혜가 그만큼 더 크고 더 큰 자비가 죄인들에게 주어진다는 지성의 부패한 생각에 넘어가기 때문에 죄에 대해 동의하게 됩니다. 앞에서 확인한 것처럼 이것은 먼저 지성을 속이고, 나아가 의지로 하여금 악을 제대로 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죄에 동의하는 문을 열어 놓고 맙니다. 육에 속한 사람의 마음은 그들의 자유가 "멸망의 종"(벧후2:19)이 되는 데 있다고 판단하게 할 정도로 이러한 생각이 크게 지배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의 독성은 종종 신자들의 지성도 오염시키고 부패시킵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이 이 점에 대해 크게 경고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서 복음의 은혜에 대한 교리를 악용하는 것에 대해 몇 가지 다른 주의 사항을 덧붙이고, 이 점에 대해 빛을 던져 주는 성경의 한 본문에 시선을 고정시켜야 합니다.


<기도>

하나님 아버지. 복음의 은혜에 대한 교리를 악용하지 않도록 깨어있게 하시며, 구원의 기쁨을 회복시켜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조회수 3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자신이 기뻐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하나님의 고유한 특권이자 주권이기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구원하실 자들을 주권적으로 부르시고 의롭게 하시며,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평안이 있으라고 말씀하시고,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롬9:18).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를 부르시고, 자신이 원하는 자를 거룩하게 하

죄의 뿌리 곧 내재하는 죄와 관련해서든 아니면 죄가 표출되는 경우와 관련해서든 하나님이 죄책에 대해 마음을 불안하게 만드시는 경우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에 스스로 평안하다고 말하지 말고 하나님이 영혼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경청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지 못해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속이는 것은 참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서는 참으로 아는 것이 적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지혜자인 솔로몬도 자신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비하면 짐승이라 내게는 사람의 총명이 있지 아니하니라 나는 지혜를 배우지 못하였고 또 거룩하신 자를 아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