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4.6(수) "양심에 죄책에 대한 부담을 지우라"
죄를 죽이는데 요구되는 세 번째 개별적 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심이 욕심의 죄책에 대해 부담을 갖게 하라.' 욕심에는 죄책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뿐만 아니라 욕심의 실제적인 행사와 욕심이 일으키는 죄악에 대해 주어지는 죄책으로 우리의 양심은 부담을 가져야 합니다. 이 지침을 더 정확하게 전개하기 위해 몇 가지 세부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욕심이 일으키는 죄책에 대해 양심이 율법의 엄격함과 거룩함에 따라 부담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거룩한 율법을 양심에 적용시키고, 우리의 부패함을 율법에 비추어 보며, 율법에 따라 행하게 해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율법의 거룩함, 영성, 불 같은 엄격함, 내면성 그리고 절대성을 숙고하고, 우리가 어떻게 율법 앞에 설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 율법 안에서 주님에 대한 두려움으로 우리의 양심이 사무치도록 하고, 우리의 모든 죄악이 그에 합당한 대가를 받는 것이 얼마나 정당한 일인지 유념합시다. 아마 우리의 양심은 이러한 생각이 주는 부담에서 벗어나려고 갖은 핑계와 구실을 찾을 것입니다. 즉 율법의 정죄하는 권세는 우리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율법으로부터 자유하다는 식으로 변명하고, 그래서 율법에 대해 마음이 편하지 않으면서도 굳이 그렇게 고민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죽임을 당하지 않은 욕심이 마음에 있는 한, 우리가 죄의 정죄의 힘에서 해방되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을 양심에게 말해야 합니다. 아마 그러면 율법은 우리가 죄의 완전한 지배에서 벗어나 있지 않음을 역설함으로써 상실된 존재라고 강변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율법이 무엇을 말하는지 최대한 깊이 성찰해 보는 것이 상책입니다.
확실히 가장 은밀한 마음속에 자기는 율법의 죄를 판단하는 힘으로부터 자유롭다고 핑계를 댐으로써 죄나 욕심을 허용하는 일을 은밀하게 묵인하는 사람은 복음의 기초에 입각해 볼 때 영적 안전을 보장하는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습니다. 더 적절하게 말하면, 구원받았다고 스스로 주장할 만한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것입니다.
<기도>
하나님 아버지. 양심을 율법에 비추어 보며 깊은 회개와 경건으로 나아가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