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12.31(목) "죄의 거짓된 아름다움"


일단 지성에 대한 역사를 통해 기회를 잡으면, 죄의 속임은 정서의 부패한 요소에 죄를 바람직한 것으로 곧 별로 나쁘지 않은 것으로 제시합니다. 죄는 천 가지 그럴듯한 주장들로 대상을 포장함으로써, 타락한 욕심을 부추깁니다. 이것은 죄가 미끼를 놓는 것으로, 야고보는 야고보서 1장 14절에서 이 점을 분명히 암시하고 있습니다. 미끼는 얼핏 보면, 굶주린 새의 눈에 주린 배를 충분히 채워 줄 것처럼 그럴듯하게 보이고, 온갖 공작을 다해 그렇게 보이도록 합니다. 죄도 이처럼 영혼의 상상을 돕는 것처럼 나타납니다. 즉 추하고 부적절한 대상들을 그럴듯하게 포장시켜 제시함으로써 정서를 미혹합니다. 바울은 "죄악의 낙(pleasures of sin)"에 대해 말하면서, 모세처럼 죄악의 낙을 멸시하지 아니하면 절대로 죄를 피할 수 없다고 강조합니다(히11:5). 따라서 죄 가운데 사는 사람들을 "사치하며 사는"자들이라 말합니다(약5:5). 이 죄악의 낙은 욕심을 일으키고 정서를 타락시키기 위해 육체를 만족시키는데 적합한 모양을 취합니다. 그런 이유로 바울은 로마서 13장 14절에서 "오직 주 예수 그리스도로 옷 입고 정욕을 위하여 육신의 일을 도보하지 말라."고 경고합니다. 즉 이 말은 "너희 지성, 생각 또는 정서가 육체의 욕심을 만족시키는 데 알맞은 모양을 하고 있는 죄악의 대상들에 고정되어 그것들을 속에 품고 소중히 여기지 않도록 하라."는 뜻입니다. 바울은 이 점을 다시 경고하기 위해 갈라디아서 5장 16절에서 "육체의 욕심을 이루지 말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죄의 힘 아래 있을 때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는"(엡2:3) 상태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죄의 속임은 상상의 도움을 통해 육체의 타락한 욕심을 만족시키고, 부적절한 지성을 통해 정서를 흥분 상태에 빠지게 함으로써 헝클어지게 합니다. 죄는 육욕적이고 탐욕적인 사람들에게 "거품을 일으키고 있는 잔 속의 포도주"처럼 음녀의 아름다운 모습과 세상의 풍요함을 제시하는데, 이것은 어느 정도 신자들에게도 제시됩니다. 그러므로 죄는 영혼을 혼란에 빠뜨릴 때, 죄의 이 거짓 아름다움과 위장된 만족감을 제시하여 정서를 미혹함으로써 상상을 크게 지배합니다. 이때 사탄이 특별한 시험을 통해 죄를 돕게 되면, 죄는 수시로 정서를 크게 흥분시키고 전체 영혼을 큰 혼란에 빠뜨립니다.


<기도>

죄는 거짓된 아름다움을 제시하며 죄를 바람직하고, 별로 나쁘지 않은 것으로 포장한다는 것을 기억하며, 미혹되지 않도록 깨어 있는 하루가 되게 하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아멘.

조회수 7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자신이 기뻐하는 자에게 은혜를 베푸시는 것은 하나님의 고유한 특권이자 주권이기에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구원하실 자들을 주권적으로 부르시고 의롭게 하시며,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평안이 있으라고 말씀하시고, 자신이 기뻐하는 자들에게 은혜를 베푸십니다(롬9:18). 하나님은 모든 사람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자를 부르시고, 자신이 원하는 자를 거룩하게 하

죄의 뿌리 곧 내재하는 죄와 관련해서든 아니면 죄가 표출되는 경우와 관련해서든 하나님이 죄책에 대해 마음을 불안하게 만드시는 경우에, 하나님이 말씀하시기 전에 스스로 평안하다고 말하지 말고 하나님이 영혼에게 말씀하시는 것을 경청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지침을 지키지 못해 사람이 자신의 영혼을 속이는 것은 참으로

우리는 자신을 낮추고 겸손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정도로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충분히 알고 있지만, 하나님에 대해서는 참으로 아는 것이 적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지혜자인 솔로몬도 자신에 대한 이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에게 비하면 짐승이라 내게는 사람의 총명이 있지 아니하니라 나는 지혜를 배우지 못하였고 또 거룩하신 자를 아는

bottom of page